= 표 Heywon Choi <heywon.choi@bankwareglobal.com> include::ROOT:common_attrs.adoc[] //include::../attributes/common_attrs.adoc[] //include::../attributes/dir_attrs.adoc[] [abstract] .문서개요 -- 이 문서는 AsciiDoc 에서 {doctitle} 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. -- == Table 문서에서 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열 지정자 목록([cols="1열 지정자,2열 지정자,..."])과 표 블록(|===)을 사용한다. * 열 지정자 열과 해당 열에 할당된 너비, 맞춤 및 스타일 속성을 나타낸다. ** 너비 열 너비는 1%와 100%사이의 백분율을 사용하여 할당하고 백분율 기호(%)는 생략한다. ** 서식 서식 연산자는 항상 열의 지정자 마지막 위치에 배치한다. 특정 셀에만 서식을 지정할 때는 셀 구분자(|) 앞에 서식 연산자를 지정한다. *** 기본(d 또는 생략): 기본 인라인 서식 지원 *** AsciiDoc(a): AsciiDoc 블록 요소(목록, 블록) 지원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. === AsciiDoc 소스 Table을 작성하는 AsciiDoc 소스는 다음과 같다. [source,asciidoc] ---- .표 예제 [cols="50a,50"] <1> |=== |헤더1열 |헤더2열 |. 1행 1열 AsciiDoc 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. 1행 2열 기본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|* 2행 1열 AsciiDoc 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* 2행 2열 기본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d|* 3행 1열 <2> 셀에 기본 서식 지정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a|* 3행 2열 <3> 셀에 AsciiDoc 서식 지정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=== ---- <1> 1열에 AsciiDoc(a) 서식 지정 <2> 셀에 기본(d) 서식 지정 <3> 셀에 AsciiDoc(a) 서식 지정 === 결과 Table을 사용하는 경우 본문 형태는 다음과 같다. **** .표 예제 [cols="50a,50"] |=== |헤더1열 |헤더2열 |. 1행 1열 AsciiDoc 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. 1행 2열 기본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|* 2행 1열 AsciiDoc 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* 2행 2열 기본서식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d|* 3행 1열 셀에 기본 서식 지정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 안됨 a|* 3행 2열 셀에 AsciiDoc 서식 지정: AsciiDoc 블록 요소 지원됨 |=== **** == 병합 표에서 병합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셀 구분자(|) 앞에 범위 인수(`n`)와 범위 연산자(`+`)를 입력한다. * 형식: 열범위.행범위+.^ ** 예) 2.3+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. === AsciiDoc 소스 병합을 작성하는 AsciiDoc 소스는 다음과 같다. ---- .병합 예제 [cols="25,25,25,25"] |=== |헤더 1열 |헤더 2열 |헤더 3열 |헤더 4열 |1행 1열 2.3+|1행 2열 `2.3+`: 현위치 기준 2개의 열과 3개의 행 병합 -> 2열과 3열, -> 1행과 2행, 그리고 3행 병합 |1행 4열 |2행 1열 |2행 4열 |3행 1열 |3행 4열 |=== ---- === 결과 병합을 사용하는 경우 본문 형태는 다음과 같다. **** .병합 예제 [cols="25,25,25,25"] |=== |헤더 1열 |헤더 2열 |헤더 3열 |헤더 4열 |1행 1열 2.3+|1행 2열 `2.3+`: 현위치 기준 2개의 열과 3개의 행 병합 -> 2열과 3열, -> 1행과 2행, 그리고 3행 병합 |1행 4열 |2행 1열 |2행 4열 |3행 1열 |3행 4열 |=== ****